반응형
뉴스를 보다가 예전에 호주에 있을 때 몇몇 주가 섬머타임제를 시행하는 걸 겪은지라 왠지 낯설지가 않아서 클릭해 보았다. 우리나라도 그걸 도입할려고 시도했던 모양인데, 사실상 실패했다고 하는구나.
기사링크
눈에띄는 건,
[써머타임제란 여름철 표준시보다 1시간 시계를 앞당겨 놓는 제도로, 일을 일찍 시작하고 일찍 잠에 들어 등화를 절약하고, 햇볕을 장시간 쬐면서 건강을 증진한다는 근거로 도입됐다.] 요 부분.
사실 써머타임제라는게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왜 하는지는 몰랐다.
그냥 시간을 맞추려고 하는건가(?) 이정도... 였는데 -_-;
도입이 무산되어서 조금 아쉽기는 하다. 에너지 절약도 절약이지만 햇볕을 많이 쬐는건 좋은 것이고, 예전에 회사다닐 때 새벽에 출근해서 밤에 들어오니 햇볕쬘 일이 없어서 좀 그랬다는 경험과, 아침 일찍 등교해야 하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(지금도 이런가? 나 다닐 때는 그랬는데...;;) 굉장히 긍정적일 것 같은데. 햇볕 쬘 일이 별로 없다니 왠지 비 인간적이잖아.
근데 왜 우리나라는 도입 후에도 퇴근시간이 빨라지지 않는다는 거지? -_-;
에너지 절약과 동시에 인건비도 절약하려는 건가. ;;;
기사링크
눈에띄는 건,
[써머타임제란 여름철 표준시보다 1시간 시계를 앞당겨 놓는 제도로, 일을 일찍 시작하고 일찍 잠에 들어 등화를 절약하고, 햇볕을 장시간 쬐면서 건강을 증진한다는 근거로 도입됐다.] 요 부분.
사실 써머타임제라는게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왜 하는지는 몰랐다.
그냥 시간을 맞추려고 하는건가(?) 이정도... 였는데 -_-;
도입이 무산되어서 조금 아쉽기는 하다. 에너지 절약도 절약이지만 햇볕을 많이 쬐는건 좋은 것이고, 예전에 회사다닐 때 새벽에 출근해서 밤에 들어오니 햇볕쬘 일이 없어서 좀 그랬다는 경험과, 아침 일찍 등교해야 하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(지금도 이런가? 나 다닐 때는 그랬는데...;;) 굉장히 긍정적일 것 같은데. 햇볕 쬘 일이 별로 없다니 왠지 비 인간적이잖아.
근데 왜 우리나라는 도입 후에도 퇴근시간이 빨라지지 않는다는 거지? -_-;
에너지 절약과 동시에 인건비도 절약하려는 건가. ;;;
반응형
'1.생활의지혜 > 그냥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어쩐지 축제를 하고 있었다. -대구 화교중국문화축제 (6) | 2007.10.13 |
---|---|
텝스 고사장 리뷰 - 경진중학교 (4) | 2007.10.13 |
2007 대구국제육상경기대회 행사안내 (6) | 2007.10.03 |
'KTX는 왜 내부가 좁을까?' 에 관한 답 (4) | 2007.10.02 |